애완 양서류
현재 국내에서의 애완동물의 종류는 다양해지고 있으며
모두가 반려동물로써 받아들이지는 않지만, 양서,파충류와 같은 종은 반려동물로써 혹은 관찰동물,관상동물로써
점차 이전보단 많은 인기를 끌고있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선 아직 애완 양서,파충류의 입지는 해외에 비해 매우 미약한 편이며
정보도 극히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이 글은 국내의 애완 양서류에 입문을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양서류?
양서류는 물과 뭍 양쪽에서 서식하는 동물을 말합니다.
익히 알고있는 동물인 개구리,두꺼비,도롱뇽과 같은 양서류는 모두 작은 곤충을 잡아먹는 육식동물입니다.
물론 올챙이때엔 녹조류와 작은 벌레를 모두 먹는 잡식성을 주로 띕니다.
폐가 존재하지만, 대체적으로 피부호흡에 의존을 합니다.
건조는 피부호흡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항상 양서류의 피부는 미끈미끈한 모습을 보입니다.
애완 양서류의 종류
양서류에는 수많은 목이 나뉘며 이에 따라 사육환경도 모습도 뒤바뀌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개구리와 도롱뇽이 같은 양서류이지만 모습이 다른것처럼
양서강에는 개구리목, 도롱뇽목, 무족영원목 이 3가지 목이 속합니다.
개구리목(Anura) 혹은 무미목
신와아목
신와아목은 개구리목의 3개의 아목중 하나이며 가장 19 과와 310 속, 4688 종으로 이루어지는 가장 거대한 아목입니다.
이를 전부 알아보기는 힘들겠지만, 신와아목에 속하는 인기있는 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개구리과
국내 애완 양서류에서 인기있는 종중 하나인 화이트 트리 프록이 속하는 과입니다.
뿔개구리과
국내에서 '팩맨'으로 잘 알려진 '뿔개구리'가 속하는 과입니다.
두꺼비과
국내에서 마린토드로 잘 알려진 '케인토드'가 속하는 과입니다.
독개구리과
다트프록으로 흔히 부르는 독화살개구리가 속한 과입니다.
맹독을 지닌것으로 잘 알려진 독화살개구리가 국내에서 사육된다는것에 놀랄수도 있지만
독화살개구리는 체내에서 독을 만들어 내는 종이 아닌, 독충과 같은 먹이를 통해 독을 축적하여 사용하는 종이기에
사육환경에서 초파리,흰개미와 같은 먹이를 먹는 독화살개구리는 독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잎개구리과 / 청개구리과 잎개구리아과
왁시 몽키 프로그가 속하는 잎개구리과(Phyllomedusidae)는 현재 논란중인 과입니다.
잎개구리과가 신와아목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과인지 혹은 청개구리과에 속하는 아과인지는 아직 의견이 분분한 상태입니다.
중와아목
중와아목은 신와아목에 비해 적은 6 과, 20 속, 168 종을 포함하는 아목입니다.
중와아목에는 6개의 과가 속하지만, 국내에서 흔히 길러지는 종인 아프리카 발톱개구리와 피파개구리가 속하는
발톱개구리과를 제외한 종은 국내에서 보기 힘든 편입니다.
발톱개구리과
한때 국내에서 쉽게 볼수있었던 아프리카 발톱개구리가 속하는 과입니다.
등에 알을 붙혀, 새끼가 어미의 등을 찢고 나오는 것으로 유명한 피파개구리 또한
발톱개구리과에 속합니다.
원와아목
개구리목의 아목중 가장 작은 4 과, 6 속, 28 종만을 속하는 아목입니다.
국내의 무당개구리가 이곳에 속합니다.
무당개구리과
국내에 서식하는 무당개구리가 속하는 과입니다.
이와 비슷한 모습을 보이는 모시프록의 경우,
신와아목 산청개구리과에 속합니다.
도롱뇽목(Caudata) 혹은 유미목
도롱뇽목 혹은 유미목이라고 불리는 도롱뇽목은
도롱뇽아목, 영원아목 그리고 잘 알려지지 않은 사이렌아목이 포함됩니다.
도롱뇽아목
도롱뇽목에 속하는 양서류의 아목
주로 미국 동부와 중국, 대만, 일본 등에서 발견됩니다.
장수도롱뇽과
세상에서 가장 큰 양서류로 알려진 중국장수도롱뇽과 1.5미터까지 자라나는 일본장수도롱뇽이 속하는 과입니다.
사육은 흔치 않지만 유명한 대형도롱뇽이 속합니다.
도롱뇽과
단 5종을 제외한 모든 종이 동아시아에 서식하며 54종이 알려졌습니다.
그중 3종은 국내 고유종이며, 가장 크게 알려진 도롱뇽 'Hynobius leechii' 는 코리안 살라만다 라고 불리며
일본에서도 조선도롱뇽이라고 불립니다.
사이렌아목
국내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사이렌은 매우 특이한 모습을 지닌 동물입니다.
우선 사이렌은 단 5종만 현존하며 2속으로 구분됩니다.
사이렌과
작은 사이렌 혹은 레서 사이렌이 사이렌과에 속합니다.
사이렌은 뒷다리가 없으며, 장어처럼 긴 몸이 특징입니다.
영원아목
남아프리카와 남극, 오세아니아를 제외한 전세계에 분포하는 영원아목은 7개의 과를 포함합니다.
점박이도롱뇽과
국내에서 타이거 살라만다라 불리는 범무늬 도롱뇽이 이곳에 속합니다.
또한 국내에서 우파루파로 잘못 알려진 아홀로틀 또한 이곳에 속합니다.
영원과
국내에서 흔히 길러지는 파이어벨리 뉴트가 이곳에 속합니다.
파이어벨리 뉴트는 중국 파이어벨리 뉴트와 일본 파이어벨리 뉴트가 혼동되는 편인데
둘은 같은 속에 속하지만 다른 종입니다.
암피우마과
암피우마속은 암피우마과의 유일속이며 암피우마속에는 단 3종이 알려졌습니다.
국내에서는 엠피우마로 잘못 알려졌으나, Amphiuma라는 종명을 보아 암피우마가 올바르며
또한 유일속 유일종으로 잘못 알려졌지만, 3종이 존재합니다.
무족영원목
무족영원목은 10개의 과를 포함합니다.
하지만 국내에서 무족영원은 흔히 길러지는 양서류가 아니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애완 양서류
국내에서 애완 양서류시장은 애완 파충류시장과 떼어낼수없는 관계이며
커뮤니티 또한 파충,양서류가 묶이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하지만 양서류만을 전문으로 사육하는 사육자도 존재하기에
언젠간 국내 양서류 시장도 파충류 시장처럼 더욱 거대해지기를 바랍니다.
#애완 양서류 #애완 양서류 종류 #애완 개구리 #애완 도롱뇽 #살라만다 #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