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호그노즈 스네이크/호그노즈 스네이크 모프

호그노즈 스네이크 모프 - 기본 정리

 

 

호그노즈 모프 기본정리

 

 

호그노즈 스네이크 뿐만이 아닌 기본적인 파충류 브리더를 희망하신다면 알아야할 정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기본적으로 우성,열성만 알아도 기본적인 브리딩은 가능합니다.

그러나 유전학에는 우성과 열성뿐만 아니라

불완전우성,공우성부터 다형질유전까지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우선

우성의 경우, 부모개체중 하나만이 자손개체에게 유전자를 전달하더라도 표현형에 영향을 미치는 대립유전자 입니다.

인간의 경우 머리카락 색을 결정하는 대립유전자 중

흑발 대립유전자의 경우, 우성 대립유전자이기 때문에

부모중 한명만이 흑발이더라도 자손은 흑발을 갖게 됩니다.

(흑발 대립유전자는 우성이기에, 열성 대립유전자를 가리고 흑발만 표현된다.)

 

열성의 경우, 부모개체 둘 모두가 자손개체에게 유전자를 전달하였을때 표현형에 영향을 미치는 대립유전자 입니다.

인간의 경우 머리카락 색을 결정하는 대립유전자 중

금발 대립 유전자의 경우, 열성 대립유전자이기 때문에

부모중 한명만 금발이라면 자손은 금발을 갖지 못합니다.

(금발 대립유전자는 열성이기에, 우성 대립유전자에게 가려져 표현되지 않는다.)

 

이것까지 이해하신다면

공우성과 불완전우성은 금방 이해하실수 있습니다.

 

공우성의 경우, 우성 대립유전자가 열성 대립유전자의 표현을 가리지 않고, 

함께 표현되는것입니다.

 

이때 위의 흑발금발 유전자를 공우성 유전방식에 대입할경우,

우성흑발 대립유전자의 표현이 열성금발 대립유전자의 표현을 가리지 않고

함께 표현되어, 부분적으로 금발흑발같이 지니게 됩니다.

 

불완전우성의 경우, 우성 대립유전자와 열성 대립유전자의 표현형이 

섞여서 표현되는것입니다.

 

이때 위의 흑발과 금발 유전자를 공우성 유전방식에 대입할경우,

우성흑발 대립유전자의 표현이 열성금발 대립유전자의 표현과 

섞여서 표현되어, 흑발금발 의 중간색인

갈색 머리카락을 갖게되는 경우입니다.

 

 


추가적으로 복대립유전과 다인자유전에 대한 설명입니다.


 

복대립과 다인자 유전

 

 

복대립과 다인자 유전의 경우, 대립유전자의 우성과 열성이 아닌,

표현형을 결정하는 방식이 되어버리기에 더욱 파고들어 어렵습니다.

 

복대립유전의 경우 하나의 표현형을 결정하는데 3개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관여하여 한 쌍의 유전자 형질을

표현하는 경우입니다. 흔한 예로 인간의 ABO식 혈액형이 존재합니다.

 

A와 B 그리고 O 라는 3가지의 대립유전자가 관여하고

그중 A와 B는 우성 O는 열성 대립유전자입니다.

 

그로인해 A와 B 그리고 O의 대립유전자가 

한쌍의 유전자 형질을 구성할경우

AAAO(A형)

BBBO(B형)

OO (O형)

AB (AB형)

을 이루게 됩니다.

 

(A와 B는 우성 유전자 이기에 하나만 관여하더라도 표현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O의 경우 열성 유전자 이기에 OO를 이루지 않는 이상 표현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

 

 

다인자유전의 경우 하나의 표현형을 결정하는데 여러 쌍의 대립 유전자가 관여하며,

대립 형질을 구분하기 어렵고, 환경적 영향을 받아 표현형이 다양해지며, 멘델의 유전법칙에 의한

대립유전자의 우열관계를 나누기 힘듭니다.

 

흔히 사람에게 존재하는 키, 몸무게, 지능 등의 요소가 다인자유전 방식으로

유전되며, 모두 유전적 요소가 있지만, 영양섭취와 운동성, 혹은 질병등에 의한 

다양한 후천적, 환경적 요인들이 크게 작용하기에

같은 다인자 유전 방식 모프라 하더라도

각기 다른 표현형을 지니는것이 가능합니다.

 


 

모쪼록 브리더분과 브리더를 지향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만든 자료입니다.

혹시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추후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면 추가로 설명하겠습니다.

 

 

#호그노즈 #호그노즈 모프 #호그노즈 스네이크 #호그노즈 스네이크 모프 #우성 #열성 #복대립유전 #다인자유전

#파충류 모프 #파충류 라인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