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스네이크/콘스네이크 정보

콘스네이크 사육정보 - 5. 성별구분과 교배(브리딩)

사진 출처 : wallpapercave.com

 

 


서론

 

 

애완 뱀을 교배시키는 것은 애완 파충류를 공급하는 사육자는 물론, 개인 사육자에게도 자주 일어나는 행위입니다.

먼저, 애완 뱀을 교배시키는 것은 잘 숙련된 경우, 큰 문제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브리딩(교배)는 애완 파충류에 있어 하나의 큰 요소로 작용하며,

파충류는 반려동물뿐 아닌, 관상동물 혹은 관찰을 목적으로 키우는 사육자도 많으며

그로 인해 인기가 많은 종의 경우, 많은 모프가 존재하고,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습니다.

 

물론 애완 뱀을 반려동물로써 키우는 사육자 혹은 키우지 않는 사람이 보았을 때

이러한 행위는 이상해 보일 수 있으나.

 

애완 뱀을 사육하는 데에 있어 재미요소는 단순히 뱀을 키우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행동을 관찰하고, 사육장을 꾸며주고, 개체를 번식하기도 하는 데에서도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번식과정에서 많은 강아지, 고양이의 품종과 비슷하게

다양한 특징을 띄는 모프가 탄생하고, 이러한 모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 사육자도 존재합니다.

 

모프에 대한 자세한 정보 링크

 

하지만 이러한 번식 행위를 그저 교배를 반복하여, 개체를 돈벌이에 이용하는 행위도 분명히 존재하며,

이러한 행위는 지양해야 함과 동시에 떼어놓을 수 없는 문제점입니다.

 

이렇게 태어난 개체가 문제가 있는 개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교배를 목적으로 먹이를 과하게 지급하고, 이른 나이에 성성숙이 올 경우,

개체의 수명은 짧아진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

또한 교배를 자주 반복할수록 수명이 짧아진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실제로 노화 속도는 몸집이 크거나, 대사가 느리거나, 성성숙이 느릴수록 느려지며,

그에 반해 몸집이 작고, 대사가 빠르며, 성성숙이 빠를수록 노화가 빨리 온다.

이는 이식 거부 반응과 후천적 면역학적 관용에 대해 연구하여 조직, 장기 이식에 크게 이바지하여 '이식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피터 메더워An unsolved problem of Biology (생물학의 미해결 문제)를 기반으로 함)

 

 

 


콘 스네이크 성별 구분 방법

 

 

뱀의 성별을 구분하는 방법에는 크게 세 가지가 존재합니다. 하나는 육안으로 보이는 특징으로 구분 짓는 방법입니다.

다른 두 가지, 흔히 팝핑(Popping)과 프로빙(Probing)이라고 불리는 방법은, 다소 물리적으로 침습적(invasive)인 기술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방법에 제대로 된 경험이 부족하다면 육안 식별만 안전합니다.

물론 올바르게 사용한다면, 팝핑과 프로빙은 뱀에게 상처를 주지 않습니다.

그러나 특별한 훈련 혹은 숙련자의 도움 없이 이러한 방법을 시도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잘못 사용할 경우 애완 뱀이 심각한 부상을 입고 번식력을 잃을 수 있으며

부상으로 인한 통증, 감염 심한 경우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육안 식별

 

 

육안으로 성별을 식별하는 것은 익숙해지지 않는다면, 매우 힘들수있으나

적어도 뱀에게 완벽히 무해한 방법입니다.

 

우선 육안으로 성별을 식별하기위해 총배설강(Cloaca)라는 기관을 찾아야 합니다.

 

사진 출처 : Donna Fernstrom/Quora

 

뱀의 총배설강은 평소 비늘에 덮혀있기에 언뜻보면 찾기 어려울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변 비늘과는 다른 모습을 띄기에

자세히 관찰한다면, 충분히 발견하실수있습니다.

 

사진 출처 : Adan Chughtai/Quora

 

총배설강의 위치를 찾으셨다면 총배설강 이후 꼬리의 모습을 잘 확인하여야 합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총배설강 이전까지는 몸이며, 그 이후부터 몸 끝까지는 꼬리이기 때문에

총배설강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수컷의 경우. 총배설강 내부에 성기가 숨겨져 있으며, 그로인해 총배설강부터 일정거리는 몸과 같은 두께를 유지합니다.그 이후 점점 가늘어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암컷의 경우. 총배설강 이후부터 바로 가늘어지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각각 개체에 따라, 헷갈리기도 하며

비교를 위한 다른 뱀이 존재하지 않다면

구별하기 힘들수도 있습니다.

 

 

팝핑(Popping)

 

 

대부분의 사육자가 뱀의 성별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확실한 방법은 "팝핑"이라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뱀의 생식기가 총배설강 밖으로 튀어나오게 한뒤, 생식기를 보고 뱀이 수컷인지 암컷인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또한 생후 1개월 미만의 개체에게만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보다 나이가 많은 개체의 경우, 악영향을 미칩니다.

이 방법은 숙련자의 도움아래, 혹은 이 방법에 대해 숙련된 사람에 의해서만 시도되어야 합니다. 다시 말하지만, 이 방법을 올바르게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전문가의 교육을 받지 않았다면 시도하지 마세요.

제대로 되지 않을경우 뱀은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도 있습니다.

 

숙련자가 팝핑을 올바르게 하는 방법을 직접 보고, 올바르게 하는 방법에 대해 확신한다면

그때 직접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이 방법도 총배설강의 위치를 파악해야 합니다.

총배설강의 위치를 파악하였다면 총배설강 윗부분(몸 방향)에 엄지를 대어줍니다.

그 이후 반대 손으로 총배설강 아랫부분(꼬리방향)에 압력을 가해줍니다.

이때 압력은 강해서는 안되며, 총배설강 바로 아랫부분이 아닌, 꼬리방향 에서부터 치약을 짜듯 부드럽게 밀어줘야 합니다.

이때 생식기가 돌출될것입니다. 이후 돌출된 생식기의 모양을 확인하여 성별을 구분합니다.

 

사진 출처 : reptpedia.com

 

이때 헤미 펜, 헤미페니스(hemipenes) 라고 불리는 2개의 막대가 돌출 되었다면, 수컷입니다.

헤미 펜이 돌출되지 않았을 경우, 암컷이거나 방법이 제대로 사용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후자로 의심된다면 다른 방법을 같이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프로빙(Probing)

 

 

프로빙이라고 불리는 방법은 탐침, 흔히 프로브 라고 불리는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뱀의 총배설강안에는 생식기가 보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총배설강 안에 프로브를 삽입하여 성별을 구분합니다.

이때 프로브를 강제로 삽입하거나 너무 큰 압력을 가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뱀은 의외로 섬세한 동물이며, 앞의 팝핑과 마찬가지로 쉽게 부상을 입을수 있습니다.

프로브를 잘못 삽입할 경우, 부상, 감염 등이 발생할수 있으며 이로인해 사망에 이를수도 있습니다.

 

이 방법은 뱀을 잡아줄 또 다른 인물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프로브에 바셀린 혹은 수성 수용성 윤활제를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 뱀을 적절히 눕힌 다음, 꼬리 끝을 부드럽게 젖혀 배설강을 노출시킵니다.

(절대 팝핑처럼 튀어나올 정도로 젖히지 않는다.)

배설강이 노출되었다면, 프로브를 부드럽게 삽입한다.

이때 너무 강하게 삽입하지 않고, 약한 힘으로 삽입하며 중간에 멈출 경우 억지로 삽입하지 않는것이 중요합니다.

 

사진 출처 : reptpedia.com

 

프로브가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면, 프로브가 들어간 거리를 확인합니다.

수컷의 경우 비교적 길게 들어가며, 암컷의 경우 더욱 짧은 거리만큼 들어갑니다.

 

만약 총배설강부터 프로브가 들어간 거리까지의 비늘의 수가 6개를 넘으면 수컷일 가능성이 큽니다.

비늘의 수가 5개 이하일 경우, 암컷이거나 미성숙한 수컷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콘스네이크 브리딩(번식)방법

 

 

콘 스네이크는 평균적으로 생후 18~24개월 중 성성숙이 완료됩니다.

또한 성성숙이 완료되었다 하여도 최소한 200g이 넘은 이후에 교배를 진행해주는것이 권장됩니다.

 

교배를 원한다면 성성숙이 완료된 개체를 흔히 쿨링이라 불리는 파충류형 휴면(Brumation)을 진행해주기도 합니다.

 

파충류형 휴면의 경우, 애완 뱀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것이 아니며

해외의 많은 브리더가 파충류형 휴면을 통해 교배를 하는 이유는

 

1)일반적으로 봄에 번식을 하는 자연적 사이클을 따르기 위해

2)많은 개체를 교배하여 동시에 알을 받기 위해

3)파충류형 휴면을 진행하는 동안, 지출이 적기 때문에

 

이며, 사육과 교배에 '파충류형 휴면'이 절대적으로, 혹은 자연적인 사이클을 통해 배란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하기만 한것은 아닙니다.

 

만약 파충류형 휴면을 진행한다면

 

파충류형 휴면의 방법 링크

 

를 참조한다면 도움이 됩니다.

 

위의 방법은 다른 애완 뱀인 '호그노즈 스네이크'에 대한 쿨링 방법이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내용이며, 세부적인 온도(콘 스네이크에게 권장되는 온도는 13ºC)와

기간(콘 스네이크에게 권장되는 기간은 약8주)만 다르기 때문에

방법은 위 링크를 참조하십시오.

 

이후 쿨링이 완료되었다면, 약 3~4주 이내에 허물을 벗습니다.

(3주부터 4주 이내가 아닌, 최소 3주 늦어도 4주 이내에)

이를 번식 전 허물 이라고 칭하며, 이때부터 수컷과 암컷을 같이 둡니다.

이후 교배장면을 확인 한다면, 암컷을 다시 분리해줍니다.

 

사진 출처 : banereptiles.weebly.com

 

혹은 확실한 교배를 위해 2~3번 까지 교배를 반복하기도 합니다.

 

성공적인 교배를 마친 이후, 암컷을 따로 분리하였다면

이제 암컷에게 먹이를 챙겨줘야 합니다.

이때 칼슘보충을 위해 D3 칼슘제를 더스팅한 먹이를 먹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교배 이후 3~4주 이내에 암컷은 다시 허물을 벗습니다.

이 허물은 산란 전 허물입니다.

이때부터 암컷의 사육장에 산란장으로 사용될 습식은신처를 넣어줍니다.

산란 전 허물을 벗은 이후 8~12일 이내에 암컷은 알을 낳습니다.

 

 


마치며

 

 

이번에는 콘 스네이크의 성별 구분과 번식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로써 기본적인 콘스네이크 사육정보 시리즈는 끝이 났으며,

이후 추가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안다면 좋은 정보들에 대하여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콘스네이크 #콘스네이크 사육정보 #콘스네이크 키우기 #콘 스네이크 정보 #콘스네이크 케어시트

#콘스네이크 교배 #콘스네이크 브리딩 #콘스네이크 쿨링